SwiftUI 2025 앱 생명주기: scenePhase와 @AppStorage 활용 가이드

SwiftUI 2025 앱 생명주기 이해하기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앱 개발

대상자

iOS 개발자 (중급~고급)

핵심 요약

  • @main, App, WindowGroup을 통해 앱을 초기화하는 방식
  • scenePhase를 사용해 라이프사이클 이벤트를 관찰하는 방법
  • @SceneStorage@AppStorage적절한 사용 시나리오
  • SwiftUI 뷰의 onAppear, .task, 구조체 행위에 따른 라이프사이클 행동
  • UIKit의 역할 (예: 푸시 알림)과 공존 전략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앱 초기화 메커니즘

  • @main 어노테이션으로 앱 엔트리 포인트를 정의
  • App 프로토콜을 구현해 앱의 주요 구성 요소(WindowGroup)를 정의
  • WindowGroup을 통해 메인 화면을 생성하고 관리

2. 라이프사이클 관찰

  • scenePhase 값(active, inactive, background)을 통해 앱 상태를 추적
  • @SceneStorage시나리오별 데이터 저장 (예: 화면 전환 시 상태 유지)
  • @AppStorage앱 전체 범위의 데이터 저장 (예: 사용자 설정)

3. 뷰 생명주기

  • onAppear는 뷰가 화면에 표시될 때 실행 (UI 업데이트, 네트워크 요청)
  • .task는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는 데 사용 (예: 데이터 로딩)
  • 구조체의 initdeinit메모리 관리에 직접적으로 영향

4. UIKit과의 공존

  • 푸시 알림, 네이티브 UI 요소 등 UIKit 컴포넌트 활용 시점
  • SwiftUI와 UIKit 간 데이터 동기화 전략 (예: NotificationCenter 사용)

5. 일반적인 실수

  • @SceneStorage@AppStorage범위 혼동 (시나리오/앱 전역 구분)
  • onAppear.task중복 호출로 인한 성능 저하
  • scenePhase이벤트 처리 누락 (예: 백그라운드 상태에서의 작업 중단)

결론

  • @mainscenePhase를 통해 앱 생명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, @SceneStorage@AppStorage의 범위를 명확히 구분하세요.
  • UIKit과의 협업 시 NotificationCenter를 활용해 데이터 동기화를 최적화하고, onAppear.task의 중복 호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