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erraform으로 AWS에 음성 클로닝 앱 배포: 인프라스트럭처 애즈 코드 가이드

인프라스트럭처 애즈 코드로 AWS에 음성 클로닝 앱 배포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DevOps

대상자

  • DevOps 엔지니어, 클라우드 개발자, 인프라 자동화 전문가
  • 난이도: 중급~고급 (Terraform, AWS 서비스, IaC 개념 이해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Terraform을 활용한 AWS 인프라 자동화
  • S3, CloudFront, API Gateway, EKS, CloudWatch 등 주요 AWS 서비스를 코드로 정의
  • 모듈화된 Terraform 구조로 확장성과 유지보수성 강화
  • 보안 및 운영 효율성 강화
  • IAM 역할 정의, CloudWatch 모니터링, 상태 잠금(S3/DynamoDB)
  • AWS Secrets Manager로 보안 자원 관리
  • 프로덕션 준비형 배포 프로세스
  • GitHub Actions 통합 (코드 정적 분석, Terraform Plan 자동 검증, 자동 배포)
  • 환경별 워크스페이스 분리 (dev/staging/prod)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인프라 자동화의 필수성

  • ClickOps 위험성 강조
  • 콘솔에서의 실수로 인한 인프라 파괴 사례 공유
  • Terraform으로 정의된 코드 기반 인프라가 유일한 안전한 방식
  • Terraform의 핵심 원칙
  • 불변성(Immutability), 재현성(Repeatability), 모듈화

2. 앱 구성 요소 및 서비스

  • 프론트엔드
  • Amazon S3 + CloudFront로 정적 파일 호스팅
  • OAI(Origin Access Identity)로 S3 직접 접근 제한
  • 백엔드
  • API Gateway + Lambda 또는 EKS 기반 API 레이어
  • Tortoise-TTS 모델을 포함한 ML 추론 컨테이너
  • 모니터링 및 보안
  • CloudWatch 로그/메트릭 수집
  • IAM 역할 정의 (S3, EKS, CloudFront 등)

3. 배포 프로세스

  • Terraform 워크플로우
  • terraform initterraform planterraform apply
  • 환경별 tfvars 파일 설정 (dev/staging/prod)
  • GitHub Actions 통합
  • Terraform 코드 정적 분석, Plan 결과 비교, 메인 브랜치 자동 배포
  • Secrets Manager로 보안 자원 주입

4. 보안 및 운영 고려사항

  • IAM 정책 최소화
  • * 권한 금지, 역할 범위 제한
  • S3 버킷 정책으로 403 오류 캐싱 방지
  • 비용 관리
  • Cost Tag 적용으로 비용 보고서 분석 용이
  • Terraform 상태 잠금 (DynamoDB 또는 S3 사용)

5. 기업용 인프라 요구사항

  • 보안/확장성/감사 가능성/재현성
  • Terraform 모듈로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
  • GPU 인스턴스 활용 대규모 추론 지원

결론

  • Terraform 모듈화, 상태 잠금, GitHub Actions 통합을 필수적으로 적용
  • IAM 정책은 '임시 해결책'이 아닌 지속 가능한 설계로 접근
  • AWS 서비스와 Terraform의 연동을 통해 프로덕션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운영 가능

> "Terraform으로 정의된 코드 기반 인프라는,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의 최적 솔루션입니다.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