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erraform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자동화: ClickOps 종말의 시작

인프라 자동화를 위한 Terraform 도입: ClickOps의 종말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DevOps

대상자

  • 중급 이상의 개발자 및 DevOps 엔지니어
  • 수동 인프라 관리나 쉘 스크립트 사용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
  • Terraform을 통해 인프라 코드화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람들

핵심 요약

  • Terraform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는 선언형 도구로, AWS, GCP, Azure 등 주요 클라우드 제공업체를 지원
  • HashiCorp에서 개발한 Infra as Code 도구로, Nomad, Vault, Consul과 같은 HashiStack과 호환 가능
  • terraform apply 명령어로 한 번의 실행으로 클라우드 인프라를 자동 생성/업데이트 가능
  • State 파일을 통해 현재 인프라 상태와 코드의 차이를 자동으로 비교/적용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인프라 자동화 필요성

  • ClickOps(클릭으로 인프라 생성) 또는 쉘 스크립트 사용으로 인한 관리 비용 증가 및 오류 가능성
  • Terraform 도입으로 인프라 재사용성, 일관성, 버전 관리 가능
  • HashiCorp의 HashiStack(Consul, Vault, Nomad)과의 호환성으로 생태계 통합이 용이

2. Terraform의 핵심 기능

  • 선언형 구성 파일(.tf)을 통해 원하는 인프라 상태 정의
  • 모든 변경 사항을 Git으로 추적 가능 (코드 리뷰, 롤백, PR 생성)
  • terraform apply 명령어로 환경 간 일관된 인프라 배포
  • State 파일을 통해 현재 인프라 상태와 코드 간 차이를 자동 비교

3. Docker 기반 예제 실행

  • Linux Mint 환경에서 Terraform 설치
  • sudo apt-get install terraform 명령어 사용
  • Docker 예제 구성 파일 작성
  • main.tf 파일에 docker_imagedocker_container 리소스 정의
  • terraform initterraform applyterraform destroy 단계로 인프라 생성 및 삭제 가능

4. GCP 이전 및 확장성

  • 현재 AWS EC2에서 GCP로 이전 계획
  • VPC, VM, Nomad/Consul/Vault 구성Terraform 모듈 사용으로 리소스 관리 효율화
  • terraform apply 명령어로 모든 인프라 재구성 가능

결론

  • Terraform은 인프라 자동화의 핵심 도구로, 수동 인프라 관리 및 쉘 스크립트 사용을 대체
  • 초기에는 Docker 예제부터 시작하여 GCP 등 클라우드 리소스로 확장 권장
  • LiveAPI와 같은 API 문서화 도구와의 결합으로 DevOps 워크플로우 효율화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