테스트 코드 도입을 위한 여정 🫠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테스트 자동화
대상자
프론트엔드 개발자, QA 팀, 팀 리더
난이도: 중간 (기존 QA 프로세스와 테스트 자동화 도입의 균형 설명 필요)
핵심 요약
-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자체 QA로 인해 시간과 안정성 문제 발생
- Vitest, Playwright 도입으로 테스트 자동화 환경 구축
- 테스트 피라미드 모델에서 E2E 테스트 우선순위 강조
- 모킹 로직 추상화로 리덕스 사가 기반 테스트 코드 유연성 확보
섹션별 세부 요약
###1. 문제 인식: 자체 QA의 한계
- 프론트엔드 개발자만 자체 테스트에 많은 시간 할애
- 핫픽스 빈도 감소 실패, 버그 재발로 인한 QA 리소스 낭비
- 테스트 코드 작성 어려움: 시간 부족, 환경 제약, 기술 부족 3대 요인
###2. 테스트 자동화 스터디 진행
- 테스트 코드 작성을 위한 실무 적용 사례 공유
- 단위/통합/E2E 테스트의 우선순위 논의
- 팀원 참여율 향상으로 테스트 문화 형성 기회 마련
###3. 테스트 피라미드 모델의 재해석
- E2E 테스트 → 단위 테스트 → 통합 테스트 순으로 개발
- API 의존성 많은 기능(알림톡 발송)에서 E2E 테스트 필수성 강조
- 모킹 복잡성으로 인한 통합 테스트 제한
###4. 테스트 라이브러리 선택 및 환경 최적화
Vitest
선택: Jest 대비 2배 이상 빠른 실행 속도, 셀렉터 모킹 유연성- Mock Service Worker로 모킹 로직 추상화
- Playwright로 E2E 테스트 코드 일관성 확보
###5. 결과 및 향후 계획
- 단위 테스트 커버리지 90% 달성, 통합/E2E 테스트 기반 구축 시작
- 팀원 참여도 향상, 테스트 레퍼런스 문서화
- 앱 개발 시 테스트 환경 재사용 가능
결론
- 테스트 코드 도입의 핵심은 '테스트 친화적인 코드 구조'와 '효율적인 도구 선택'
- Vitest와 Playwright 도입으로 테스트 자동화 환경 구축, E2E 테스트 우선순위 강조
- 레퍼런스 문서화로 팀 내 테스트 문화 확산 및 러닝 코스트 절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