테스트 주도 개발(TDD)의 혁신적 접근: 안정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개발 툴
대상자
- 중급~고급 개발자
- TDD 적용 경험 부족한 개발자
-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 필요성 있는 팀
핵심 요약
- TDD는 "빨강 → 초록 → 리팩토링" 순환 프로세스를 통해 코드 품질을 극대화
describe("ShoppingCart", () => { ... })
와 같은 테스트 코드로 기능 요구사항 명확화- 단위 테스트(60-70%), 통합 테스트(20-30%), E2E 테스트(5-10%)의 적절한 비율 배분
expect(cart.total).to.equal(10);
와 같은 단위 테스트 작성 가이드라인- 테스트 가독성, 격리성, 완전성 확보
it('should include 10% early payment discount', ...)
와 같은 명확한 테스트 상황 설정
섹션별 세부 요약
1. TDD의 핵심 순환 프로세스
- 빨강(RED): 요구사항을 테스트로 명확화
const cart = new ShoppingCart();
클래스가 아직 구현되지 않았을 때 테스트 실패- 초록(GREEN): 최소한의 코드로 테스트 통과
this.total += item.price;
와 같은 간단한 구현으로 초록 상태 달성- 리팩토링: 안전하게 코드 개선
this.items.reduce(...)
와 같은 구조 개선 후 테스트 재실행
2. 테스트 유형 및 비율
- 단위 테스트: 함수, 클래스 단위의 고립된 테스트
- 예:
calculatePaymentAmount(invoice, paymentDate)
함수 테스트 - 통합 테스트: DB + API, 외부 서비스 연동 테스트
- 예:
updateUser(userId, { email: 'new@example.com' });
서비스 연동 검증 - E2E 테스트: 사용자 흐름, 비즈니스 프로세스 시뮬레이션
- 예:
deleteOrder(order.id, adminUser);
UI/UX 상호작용 테스트
3. 테스트 설계 원칙
- 가독성: 모든 팀원이 이해 가능한 명확한 테스트 작성
it('should allow admin users to delete orders', ...)
와 같은 명확한 설명- 격리성: 다른 테스트에 의존하지 않는 독립 테스트 작성
const user = createTestUser(...);
와 같이 self-contained 테스트 구현- 완전성: 일반 경로 외에도 예외 처리 검증
expect(validatePassword('')).to.be.false;
와 같은 빈 입력 처리 테스트
4. JavaScript 테스트 스택
- Mocha: 테스트 실행 프레임워크
- Chai:
expect(...).to.equal(...)
와 같은 어설션 라이브러리 - Sinon: 모킹/스터빙을 위한 테스트 도구
- Supertest: HTTP 요청 테스트 도구
- NYC: 코드 커버리지 분석 도구
결론
- TDD 도입 시 "중요 모듈 하나부터 시작"하고,
describe("ShoppingCart", ...)
과 같은 테스트 코드 작성 - "리팩토링은 보안 네트워크로 안전하게 수행"하는 것이 핵심
- Mocha + Chai + Sinon 스택을 활용해 테스트 자동화 및 커버리지 분석 수행
- "TDD는 품질 향상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공학 자체의 진화"라는 인식으로 접근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