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oolHive를 활용한 MCP 서버 개발 가이드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Go 언어와 MCP 프로토콜에 익숙한 개발자 및 DevOps 엔지니어 (중급~고급)

핵심 요약

  • ToolHive는 MCP 서버 개발을 위한 경량 런타임으로, 인증, 트랜스포트 처리 등을 자동화해 개발자 생산성을 향상
  • Go 기반 MCP 서버 개발 시 mcp-go 라이브러리, ko 컨테이너 빌더, testify 테스트 프레임워크가 핵심 도구
  • KISS + DRY 원칙보안 중심 설계를 기반으로 최소한의 도구로 서버를 구축하고 실시간 테스트/리뷰를 강조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ToolHive 소개

  • ToolHive는 MCP 서버의 인증, 트랜스포트, 런타임 관리를 추상화해 개발자에게 구조적 자유도 제공
  • fetchgithub 서버 예시로, AI 클라이언트가 URL 호출 및 GitHub PR 생성 가능
  • Dockerfile 없이 Go 바이너리 또는 컨테이너 이미지로 직접 실행 가능

2. 개발 스택 및 도구

  • Go 언어 기반 MCP 서버 개발: mcp-gomcp-go/server 라이브러리 사용
  • ko 빌더로 Dockerfile 없이 최소한의 보안 컨테이너 생성
  • testify로 테스트 작성, golangci-lint로 스타일 검증
  • Anthropic Claude Sonnet 4Roo Code LLM 클라이언트 활용

3. MCP 서버 개발 원칙

  • Minimalism: 최소한의 도구로 복잡성을 줄임 (mcp-go 중심)
  • Observability: 프로토콜, 요청, 오류 전반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
  • Security: non-root 컨테이너, 최소 기반 이미지, 입력 검증 적용
  • Rapid feedback: 테스트 및 라이너 실행으로 개발 흐름 유지

4. 개발 워크플로우 예시

  • Go 코드 작성mcp-go 기반 MCP 서버 구현
  • testify로 단위 테스트 작성 → golangci-lint로 스타일 검증
  • ko로 컨테이너 빌드 또는 ToolHive로 직접 실행 (thv run go://./cmd/my-server)
  • SSE, HTTP, 비컨테이너 서버 모두 thv run 단일 명령어로 실행 가능

5. 보안 및 운영 최적화

  • 자동 업데이트, 최소 컨테이너 이미지, 취약점 스캔소프트웨어 공학 표준 준수
  • SBOM, 서명/출처 공개, 취약점 보고 체계 구축 (LLM 활용 가능)

결론

  • ToolHive를 활용해 아이디어 → 테스트 → 배포까지 간결한 워크플로우 적용
  • KISS 원칙LLM 협업을 통해 보안성, 유지보수성 극대화
  • thv run 명령어로 다양한 서버 유형 빠르게 생성 가능 (SSE, HTTP 등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