번들러가 당신을 속이고 있습니다: Tree-Shaking의 숨은 비용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프론트엔드 개발자, 모듈 번들러(Webpack, Rollup 등) 사용자
난이도: 초급~중급 (번들 최적화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Tree-Shaking이 모든 미사용 코드를 제거하지 않아 런타임 성능 저하 및 번들 크기 증가 위험
- 코드 분석 도구 사용 필수 (예:
webpack-bundle-analyzer
,source-map-explorer
) - 동적 임포트(
import()
) 또는 Tree-Shaking 제외 설정으로 불필요한 코드 제거 가능
섹션별 세부 요약
1. Tree-Shaking의 한계
- Tree-Shaking은 정적 분석 기반으로 동적으로 생성된 코드는 제거 불가
- Side-effect가 있는 모듈은 자동 제거가 불가능 (예:
require
사용 시) - ES6 모듈이 아닌 CommonJS 모듈은 Tree-Shaking 적용 대상 아님
2. 숨은 비용의 예시
- 번들 크기 감소가 예상보다 미미한 경우 (예: 10% 미만)
- 런타임에서 동적 임포트로 불러온 모듈이 메모리 누수
- 코드 분석 도구 사용 없이 Tree-Shaking 결과 확인 시 오류 발생 가능성
3. 해결 방안
import()
동적 임포트로 사용 여부에 따라 모듈 로딩 가능sideEffects: false
설정으로 Tree-Shaking 제외 모듈 명시- 번들 분석 도구로 미사용 코드 식별 및 제거 추적 (예:
webpack-bundle-analyzer
)
결론
- Tree-Shaking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번들 분석 도구 사용 필수 (
webpack-bundle-analyzer
등) - 동적 임포트(
import()
) 또는sideEffects
설정으로 미사용 코드 최적화 가능 - 번들 크기 감소가 예상보다 적다면 코드 분석 및 모듈 분리 전략 재검토 필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