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지도 학습: 클러스터링을 통한 숨은 패턴 발견
카테고리
데이터 과학/AI
서브카테고리
인공지능
대상자
- 데이터 과학자, 머신러닝 엔지니어, 분석가
- 중간 수준 이해에 적합 (기초 통계 및 ML 개념 필요)
핵심 요약
- 비지도 학습은 라벨이 없는 데이터에서 자연적인 그룹 구조를 발견하는 머신러닝 기법
-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(
K-means
,Hierarchical
,DBSCAN
)은 데이터 포인트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그룹을 형성 - 주요 활용 분야: 고객 세분화, 이미지 분할, 보안 이슈 탐지, 추천 시스템
섹션별 세부 요약
1. 핵심 개념 이해
- 데이터 포인트는 특성(예: 나이, 직업, 관심사)을 기반으로 클러스터링
- K-means 알고리즘:
_k
개의 클러스터 중심을 반복적으로 조정하여 데이터 할당 - DBSCAN: 밀도 기반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이상치를 식별
2. 중요성 및 문제 해결
- 데이터 차원 축소: 복잡한 데이터셋을 간결하게 요약
- 이상치 탐지: 비정상적인 데이터 포인트 식별 (예: 사기 거래, 고장 장비)
- 비지도 학습의 한계:
k
값 선택, 노이즈 민감성, 해석 가능성 문제
3. 응용 분야
- 고객 세분화: 구매 행동, 인구통계 기반 마케팅 전략 수립
- 의료 영상 분석: 화소 기반 객체 식별 (예: 자기공명 영상 분석)
- 보안 분야: 비정상 네트워크 트래픽 식별
4. 제한 및 윤리적 고려사항
- 데이터 편향: 입력 데이터의 편향이 클러스터 결과에 영향
- 해결 방안: 편향 데이터 정화, 해석 가능한 알고리즘 개발 필요
결론
- 클러스터링은 데이터에서 숨은 패턴을 발견하는 핵심 도구로, 고객 세분화 및 이상치 탐지에 활용 가능
- 향후 연구 방향: 해석 가능성 향상, 편향 제거 기술 개발, 자동 클러스터 수 추정 알고리즘 개선 필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