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URL 공간의 무한 가능성과 데이터 저장의 새로운 시각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소프트웨어 개발자, 시스템 아키텍트, URL 인코딩 기술에 관심 있는 기술자

핵심 요약

  • URL 공간은 우주의 입자 수보다 훨씬 더 크다

- 10^96 개의 입자 수를 64^54 개의 문자로 표현 가능

  • 기본 URL 구성 요소의 제약을 넘어서는 데이터 저장 가능

- 8+255+1+54=318 문자로 우주 입자별 고유 식별 가능

  • 최소 완벽 해시 함수(MPHF) 활용 시 URL의 잠재적 저장 용량 극대화

- 64^1730 개의 고유 URL이 생성 가능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URL 기반 OS 개발의 목표

  • 운영체제의 상태를 단일 URL로 인코딩하여 완전한 딥 링킹 실현
  • 사용자 친화적인 OS는 복잡한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인코딩 방법에 어려움
  • 기존 방법(쿼리 파라미터, JSON, DSL)은 URL 공간의 작은 일부만 활용

2. URL 공간의 수학적 분석

  • 우주의 입자 수: 10^96 (97자리 수)
  • 64^54 문자로 모든 입자에 고유 해시 할당 가능
  • 예시: 09m84COSM84wf897hos_t83740FW3M-8tdocs8374tyvsc9nc3b1nt

3. URL 구성 요소의 제한적 분석

  • 프로토콜: https:// 제거 후 1992자 남음
  • 호스트명: 255자 제한으로 1737자 남음
  • 경로명: 76+ 문자 지원 가능하지만 URL 규칙으로 인해 64자 집합만 사용

4. URL 저장 용량의 최적화

  • 경로명 분할: 6개의 250자 + 1개의 230자 구조로 1730자 활용
  • 최종 고유 URL 수: 64^1730 (우주 입자 수 64^54 대비 10^1670배)

결론

  • URL 공간을 활용한 데이터 저장의 잠재성은 기존 인식을 뛰어넘는다.
  • 64자 집합 기반 경로명 구조와 MPHF 활용 시 우주 입자 수보다 훨씬 많은 고유 URL 생성 가능
  • 실무 적용 시 URL 인코딩 규칙과 해시 함수 선택이 핵심 요소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