불안한 사용자: 오류 속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UX
카테고리
디자인
서브카테고리
UX 디자인
대상자 대상자_정보 출력
- *UX 디자이너, 제품 개발자**
- 난이도: 중간 (심리적 요소와 기술적 실천 전략의 균형)
핵심 요약
- 오류는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무너뜨리는 결정적 순간이며,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마이크로 디자인 전략이 핵심
- 예방(Prevent): 실수를 막는 설계 (예: 입력 필드 자동 완성, 포커스 이동)
- 회복(Recover): 실수 후 복구를 지원하는 설계 (예: Undo 기능, 실시간 피드백)
섹션별 세부 요약
###섹션별_세부요약 출력
###1. 오류의 심리적 영향과 유형
- 사용자 오류는 슬립(무의식적 실수)과 실수(의도적 판단 오류)로 구분
- 오류는 불안, 무력감, 자기 비난으로 이어져 서비스 포기로 이어질 수 있음
- 금융, 커머스, B2B 도메인에서 오류 UX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
###2. 마이크로 디자인 전략
- 13가지 전략을 예방(①~⑧)과 회복(⑨~⑬)으로 나눔
- 예방 전략:
- ① 행동 제약 (예: 출발일/도착일 날짜 자동 조정)
- ② 입력 자동 완성 (예: 초성 기반 추천)
- ③ 반복 주문 기본값 제공 (예: 네이버 매장 오더)
- ④ 플로우 이탈 시 정보 복원 (예: 국세청 손택스 앱)
- 회복 전략:
- ⑨ Undo 기능 (예: 노션의 실행 취소)
- ⑩ 명확한 오류 메시지 (예: 애플 결제 오류 안내)
- ⑫ 실시간 피드백 및 포커스 이동 (예: 트위터 글자 수 제한 알림)
- ⑬ 감성적 UX (예: 구글 404 페이지의 공룡 게임)
###3. 표준 준수와 사용자 편의
- 야콥의 법칙에 따라 사용자에게 익숙한 인터랙션 패턴을 따르는 것이 중요
- 예: 비밀번호 규칙, 버튼 라벨의 일관성 유지
결론
- 실무 적용 팁: 오류를 예방하려면 자동 완성, 포커스 이동, 기본값 제공을 활용하고, 회복을 위해 Undo, 실시간 피드백, 명확한 오류 메시지를 도입
- 핵심 원칙: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우선시하고, 표준 UX 패턴을 따르며, 마이크로 디자인을 통해 오류를 인간 중심의 문제로 해결해야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