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브코딩으로 간단한 STEM 게임 개발하기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바이브코딩
대상자
고등학교 교사 및 과학 교육에 관심 있는 개발자(중급~고급)
핵심 요약
- Amazon Q CLI를 활용해 STEM 교육용 게임 개발
- 프롬프팅 프레임워크 정의 및 시각적 디버깅 요청으로 개발 효율성 향상
-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물리 개념(자유체 다이어그램) 시뮬레이션 구현
섹션별 세부 요약
1. 게임 아이디어 기획
- 고등학교 물리 교육에서 자유체 다이어그램 이해 어려움 해결을 목표로 게임 개발
- Amazon Q CLI를 사용해 콘텐츠 생성 및 코드 자동화 도구로 활용
- CLI 도구의 기본 기능: ChatGPT/Grok/DeepSeek 유사한 대화형 인터페이스 제공
2. 개발 환경 설정
- Amazon Q CLI 설치 가이드를 참고해 환경 구성
- CLI 기반 프롬프팅을 통해 코드 생성, 디버깅, 시각적 요소 제안 가능
Amazon Q CLI
도구의 핵심 기능: 추론 모델 기반의 자동화된 개발 지원
3. 프롬프팅 전략 및 최적화
- 프롬프팅 프레임워크 정의 (맥락/태스크/예상 결과 명시)
- 시각적 디버깅 요청으로 문제 해결 시간 단축
- 개발 전 계획 수립 요청 (예: 코드 구조, 알고리즘 설계)
4. 최종 결과물
- 3시간 이상의 프롬프팅 과정을 거쳐 게임 완성
- 게임 DEMO: https://fbd.cmpapp.top
- GitHub 저장소: https://github.com/john-ng-hk/stem-fbd-game
결론
- 프롬프팅 프레임워크 정의 및 시각적 디버깅 요청이 개발 효율성 향상에 핵심적
- Amazon Q CLI를 활용한 교육용 게임 개발은 초보자에게도 접근 가능
- 실무 적용 시
자유체 다이어그램
구현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물리 시뮬레이션 설계 권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