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브 코딩 척도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바이브코딩
대상자
- *개발자 및 AI 도구 활용 팀**
- 난이도: 중상 (소프트웨어 아키텍처, AI 활용 경험 필요)*
핵심 요약
- 5단계로 구성된 바이브 코딩 성숙도 척도 정의
- AI 역할의 진화: 단순 보조자 → 프로젝트 전체 자동화 → 비즈니스 목표 자동화
- SOLID 원칙, 클린 아키텍처 등 설계 원칙 반영
섹션별 세부 요약
1단계: 단순 보조자 수준
- GitHub Copilot과 같은 자동완성 도구 활용
- 함수 수준의 코드 자동 생성
- 개발자 주도의 설계 및 흐름 유지
2단계: 파일 단위 완성 수준
- 간단한 스크립트/유틸리티 자동 생성
- 반복 작업 및 자동화 스크립트 처리
- 개발자 수정 작업 최소화
3단계: 모듈 수준 통합
- 독립 기능/모듈 설계 패턴 적용
- SOLID 원칙, 클린 아키텍처 반영
- 모듈 통합 및 관리 중심 작업
4단계: 프로젝트 수준 관리
- 설계, 리팩터링, 테스트, 배포 자동화 지원
- AI가 맥락 이해 후 개발자 감독 역할 강화
- 요구사항 명확성과 결과물 검토 필수
5단계: 비즈니스 목표 중심 자동화
- AI가 비즈니스 목표 및 운영 환경 이해
- 성능 최적화, 장애 대응 자동 처리
- 개발자 역할: 기술 구현 대신 전략/의사결정 집중
결론
- AI 활용 수준에 따라 개발자 역할이 '구현' → '관리' → '전략'으로 변화
- 고급 단계에서는 명확한 비즈니스 목표 정의가 필수
- SOLID 원칙, 클린 아키텍처 등 설계 원칙을 AI와 통합해 적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