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Claude와 Gemini의 협업을 통한 VoidCoreSystem 개발 기록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소프트웨어 개발자, 특히 플러그인 시스템 및 아키텍처 설계에 관심 있는 개발자들 (중급~고급)

핵심 요약

  • 자율 깨우기 모델(Autonomous Awakening Model)의미적 속성 시스템(Semantic Attribute System) 구현을 위한 2단계 초기화(2-phase initialization) 방식 도입
  • IPlugin 인터페이스pre_activate() (등록 단계)와 activate() (해결 단계)가 이미 2단계 초기화 구조를 구현하고 있음
  • JSON 형식의 manifest 파일을 통해 의존성 관리핫 리로드(Hot Reload) 안정성 확보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개발 팀 구성 및 협업 방식

  • 인간 아키텍트(Human Architect): 프로젝트 리더 및 설계 검증
  • AI Coder (Claude): 빠른 구현
  • AI 자문사 (Gemini): 아키텍처 및 설계 컨설팅
  • CLI 기반 자동화된 AI 간 대화를 통해 설계 검토

2. 자율 깨우기 모델의 주요 도전 과제

  • 순환 의존성 문제: pre_activate()activate() 단계 분리로 해결
  • 활성화 실패 가능성: 타임아웃 및 진단 도구 도입
  • 디버깅 복잡성: 상태 시각화 도구 사용

3. 의미적 속성 시스템의 구현 전략

  • 속성 표준화: 기본 속성 세트부터 시작
  • 성능 최적화: 효율적인 데이터 구조 사용
  • 단계별 구현:

- Phase 1: 핵심 기능 (등록/쿼리 기능)

- Phase 2: 제한된 속성 시스템 도입

- Phase 3: 고급 기능 통합

4. Hot Reload 안정성 확보 방안

  • 영향 범위 분석 → 단계별 종료 → 재초기화 프로세스 도입
  • manifest 파일을 통해 의존성 명시 및 유연성 확보

5. Gemini의 2단계 초기화 제안

  • 2단계 초기화가 현재 IPlugin 인터페이스와 완전히 호환됨
  • pre_activate() = 등록 단계 (제공 기능 선언)
  • activate() = 해결 단계 (의존성 요청)
  • Philosophy of Silence 원칙: 핵심 로직은 일반 규칙만 실행

결론

  • 2단계 초기화(2-phase initialization)JSON manifest 파일 도입은 순환 의존성 문제 해결 및 플러그인 시스템 확장성 향상에 핵심적
  • 현재 IPlugin 인터페이스가 이미 2단계 초기화 구조를 구현하고 있으므로, 최소한의 수정으로 적용 가능
  • Hot Reload 안정성을 위해 manifest 파일 기반의 의존성 명시단계별 종료 프로세스를 반드시 적용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