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D 프린터로 제작한 VTOL 드론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앱 개발, DevOps
대상자
드론 개발자, 3D 프린팅 및 CAD 초보자, 자율 비행 시스템에 관심 있는 기술자 및 애호가
핵심 요약
- 3D 프린팅 을 활용한 VTOL 드론 개발로, 최대 130마일 비행이 가능함
- Bambu A1 프린터 및 foaming PLA 필라멘트 사용으로 고성능 부품 제작 가능
- Ardupilot 사용을 통해 비행 제어 시스템 구현 가능하며, 튜닝과 매개변수 설정이 핵심
- 자체 CAD 설계 및 에어로다이내믹 모델링을 통해 고난관 해결 및 혁신적 프로젝트 성공
섹션별 세부 요약
1. 프로젝트 개요 및 목표
- 90일 만에 3D 프린팅을 통해 VTOL 드론 개발 완료
- 한 번 충전으로 3시간 비행 및 130마일 비행 가능
- 자체 CAD 및 에어로다이내믹 모델링 경험을 통해 제조 기술 향상
2. 사용한 도구 및 기술
- Bambu A1 프린터 사용, foaming PLA 필라멘트 및 공기역학 시뮬레이션 도구 도입
- Ardupilot 활용하여 비행 제어 시스템 구현
- CAD 및 3D 프린팅 기술을 초보 수준에서부터 학습
3. 개발 과정 및 난관
- 음성 해설, 영상 편집 등 포스트 프로덕션 경험 부족으로 작업량 증가
- 설계 매개변수 선정, 에어프레임 CAD 학습, 전력 손실 문제 해결 등 세부 과정은 영상에서 간략히 다루지 못함
- PLA 소재 사용 시 충격 저항성 부족 및 brittleness 문제 발생
4. 결과 및 평가
- VTOL 드론은 혁신성과 도전정신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받음
- Reid Hoffman 이 Ardupilot 사용에 대해 "올바른 툴체인만 있으면 누구든지 비행 혁신에 도전할 수 있다"고 언급
- DIY VTOL 드론에 대한 흥미와 관심 증가 및 자체 개발 가능성 강조
결론
- Ardupilot을 통해 비행 제어 시스템 구현 가능하며, 튜닝과 매개변수 설정이 핵심
- 3D 프린팅을 활용한 VTOL 드론 개발은 혁신적이고 실용적이며, 초보자에게도 도전 가능한 프로젝트
- PLA 소재 사용 시 내구성 문제가 있으나, 고장난 부품 재프린팅 가능성은 큰 장점
- Ardupilot 및 PX4의 라이선스 차이가 상업 제조사의 선택에 영향을 미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