약한 개념은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소프트웨어 개발
대상자
- 소프트웨어 개발자, 프로젝트 관리자, 솔루션 아키텍트
- 난이도: 중급 ~ 고급 (프로젝트 계획 및 아키텍처 설계 경험 필요)
핵심 요약
- 약한 개념은 _프로젝트 실패 및 _기회비용 증가의 주요 원인
- AI로 인한 SDLC 변화: _개발 단계에 대한 집중도가 감소하고 _개념 단계의 중요도가 상승
- 강한 개념은 _설계/개발 결정 공간을 줄이고 _프로젝트 방향성을 명확히 해줌** (예: 오프라인 중심 앱 설계 시 클라우드 동기화 제외)
섹션별 세부 요약
1. **ASX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실패 사례**
- 2017년 ASX가 블록체인 기반 CHESS 시스템 도입 계획 → 2023년 2.5억 달러 투자 후 중단
- 문제점: 블록체인 기술이 거래 속도를 _감소시킴 (예: 거래 처리 지연)
- 실패 원인: _기술적 실현 가능성 무시 및 _집단적 사고의 부재 (실행팀의 무지, 벤더의 과도한 수익 추구)
2. **AI로 인한 SDLC 변화**
- 개념 단계의 중요성 증대:
- _고속 코드 생성으로 인해 개발 단계에 대한 집중이 줄어듦
- _고객의 수용 능력 제한 (예: 주간 100개 기능 추가 → 실제 필요성 미흡)
- _주의력 감소 → MVP(최소 기능 제품) 및 피벗 전략의 효과 감소
- _평균화 경쟁: AI로 생성된 코드가 기존 개념의 중간값 경향 → _비판적 사고 감소
- 결과: _자원 낭비 및 _프로젝트 실패 확률 증가 (예: 2.5억 달러의 "돈 떠먹는 구덩이")
3. **강한 개념의 필요성: 다른 분야의 사례**
- 건축/광고/산업 디자인 분야:
- _약한 개념 → 고객 잃음 (예: 건축 설계 시 브릭 vs 콘크리트 선택의 혼란)
- _강한 개념 → 결정 공간 줄이고 효율성 향상 (예: 병원 설계 시 카펫 사용 제외)
- 소프트웨어 개발 적용:
- _기본값, 권한, 네비게이션, 기술 선택 등 결정을 명확히 해줌
- _예시: 오프라인 중심 여행 가이드 앱 → 로컬 스토리지, 다운로드 가능한 지도 우선 선택
4. **강한 개념을 설계하기 위한 활동 및 출력**
- 활동:
- _공간에 대한 깊은 이해/공감 (예: 사용자 페르소나, 일상 시나리오 문서화)
- _아이디어 스케치 및 고객 피드백 수집
- _결정의 영향 분석 (예: 특정 기술 선택 시 장단점 명확화)
- 출력:
- _명확한 문제 정의 및 결과 목표 (예: "사용자가 1일 5분만 투자해 1개월 내 앱 습득"이라는 원칙)
- _이성적 우선순위 기반의 원칙 정의 (예: "사용자 경험 우선"이라는 설계 지침)
- _협업을 위한 개념 전달 (예: 디자이너/개발자에게 구체적인 디자인/기술 선택 기준 제공)
결론
- _강한 개념은 프로젝트의 성공/실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 → _AI로 인한 개발 속도 증가와 병행해 개념 단계의 철저한 검토가 필수
- _실행 전: 기술적 실현 가능성, 고객 수용도, 비판적 사고 등을 기반으로 개념 검증
- _예: "사용자에게 1일 5분 투자"라는 명확한 원칙을 기반으로 디자인/기술 결정을 최적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