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TFB, CLS, FCP 최적화: 웹 성능 핵심 지표

웹 성능 최적화: TTFB, CLS, FCP의 핵심 지표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웹 개발자, 성능 최적화 엔지니어,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팀

핵심 요약

  • TTFB(Time to First Byte): 서버 응답 시간을 측정하며, 200ms 미만이 최적. Promise.all 사용으로 병렬 처리 가능.
  • CLS(Cumulative Layout Shift): 레이아웃 불안정성 측정. 0.1 미만이 최적. 이미지 레이아웃 고정(aspect-ratio 적용) 및 skeleton screen 사용 권장.
  • FCP(First Contentful Paint): 첫 번째 콘텐츠 렌더링 시간. 1.8초 미만이 최적. SQL JOIN 최적화critical CSS 인라인 적용 필요.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TTFB 정의 및 최적화 전략

  • TTFB는 사용자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통신 지연 시간을 의미.
  • Google의 검색 결과 순위 영향 요소로, 사용자에게 응답 속도를 느끼게 함.
  • 비효율적인 동기식 쿼리(db.users.findById 등) 대신 Promise.all 병렬 처리로 성능 향상 가능.
  • Redis 캐싱(setex 메서드)을 활용한 데이터 캐시 전략 적용.

2. CLS 정의 및 해결 방법

  • CLS는 레이아웃 요소의 불예상 이동을 측정. 사용자 경험에 직접 영향.
  • aspect-ratio 속성으로 이미지 레이아웃 고정, loading="lazy" 속성을 통해 이미지 지연 로딩.
  • Skeleton Screen 사용으로 레이아웃 불안정성 줄임.

3. FCP 정의 및 최적화 전략

  • FCP는 첫 번째 콘텐츠 렌더링 시간을 측정. 사용자 참여도와 직결.
  • SQL 쿼리 최적화(JOIN 사용) 및 critical CSS 인라인 적용.
  • srcset + sizes 속성을 통해 반응형 이미지 로딩.

4. 성능 모니터링 및 도구 활용

  • Lighthouse CI, WebPageTest, Chrome DevTools 등 도구로 성능 테스트 자동화.
  • web-vitals 라이브러리로 TTFB, CLS, FCP 지표 수집 및 분석.
  • Webpack 설정에서 maxAssetSize, maxEntrypointSize 제한으로 자원 최적화.

결론

  • TTFB, CLS, FCP 세 지표를 중심으로 성능 최적화 전략 수립.
  • Promise.all, JOIN 최적화, Redis 캐싱 등 기술적 접근과 skeleton screen, critical CSS 인라인 등 UX 개선 방법 병행.
  • Lighthouse CIReal User Monitoring 도입으로 지속적 모니터링 및 성능 회귀 방지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