웹어셈블리에서 오픈테레마트리의 활용: 웹어셈블리 관찰성 향상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웹어셈블리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및 DevOps 엔지니어
- 난이도: 중급 이상 (관찰성, 오픈테레마트리, WASI-OTel 등 기술적 개념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웹어셈블리의 관찰성 문제 해결: 웹어셈블리의 샌드박스 구조로 인한 호스트-게스트 아키텍처의 관찰성 도전 과제를 오픈테레마트리(OpenTelemetry)로 해결
- 자동 기기화(Auto-instrumentation): Rust 기반 Spin 프레임워크를 통해 HTTP 요청 처리, 컴포넌트 실행 범위, 호스트 리소스 상호작용 등 자동으로 트레이스 데이터 생성
- WASI-OTel 제안: 호스트-게스트 스팬 간 부모-자식 관계, 트레이스 컨텍스트 전파, 호스트 연산의 게스트 트레이스 통합 제공하여 오픈테레마트리 기준으로 통합 가능
섹션별 세부 요약
1. 웹어셈블리의 관찰성 도전 과제
- 샌드박스 구조의 한계: 웹어셈블리의 호스트-게스트 아키텍처로 인해 전통적인 모니터링 접근 방식이 효과적이지 않음
- 3개의 관찰성 데이터 수집 지점:
- 호스트-게스트 간 상호작용 관찰
- 다른 웹어셈블리 컴포넌트 간 통신 추적
- 웹어셈블리 컴포넌트 내부에서의 트레이스 생성
2. 자동 기기화(Auto-instrumentation)의 예시
- Spin 프레임워크 활용: Rust 기반 컴포넌트를 실행할 때 HTTP 요청 처리, 컴포넌트 실행 범위, 호스트 리소스 상호작용 데이터 자동 생성
- 언어 무관: 코드 변경 없이 호스팅 환경에서 자동으로 관찰성 제공 가능
3. 오픈테레마트리 SDK의 한계 및 WASI-OTel 제안
- 기존 SDK의 문제점:
- 웹어셈블리에 오픈테레마트리 라이브러리 컴파일 어려움
- 비-HTTP 컴포넌트에서 부모 트레이스 컨텍스트 접근 불가
- 호스트 연산과 게스트 스팬의 연관성 미흡
- WASI-OTel 제안의 핵심 기능:
- 호스트-게스트 스팬 간 부모-자식 관계 정의
- 트레이스 컨텍스트 전파를 통해 호스트-게스트 경계를 넘어 전파 가능
- 호스트 연산을 게스트 트레이스에 통합
4. WASI-OTel 제안의 현재 상태 및 미래 계획
- WASI-OTel 프로posal: WASI 프로세스의 Phase 0 단계에 있으며, 표준화된 인터페이스, 프로세서 콜백(onStart, onEnd), 컨텍스트 전파 메서드 제공
- 향후 계획:
- WASI-OTel 표준화 프로세스 진행
- Rust 외 언어 지원 확장
- 메트릭 및 로그 지원 추가 (현재는 트레이스에 집중)
- Spin 외 런타임 지원 확대
결론
- WASI-OTel 제안은 웹어셈블리의 관찰성을 향상시키는 핵심 기술로, 오픈테레마트리 기준으로 호환성 확보 및 호스트-게스트 통합 관찰성 제공
- 실무 적용 팁:
- WASI-OTel SDK를 활용하여 개발자 친화적인 오픈테레마트리 API 사용
- 자동 기기화와 커스텀 트레이스 결합으로 기업용 웹어셈블리 애플리케이션의 관찰성 강화
- WASI-OTel 표준화를 통해 기존 관찰 인프라와의 호환성 확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