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ebGL에서 오프스크린 렌더링 완벽 가이드

웹GL에서 오프스크린 렌더링 마스터하기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웹GL 기초 지식을 가진 개발자, 포스트프로세싱 효과 구현에 관심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

(난이도: 중급, 기존 WebGL 개념 이해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Framebuffers는 오프스크린 렌더링의 핵심으로 텍스처에 렌더링 결과를 저장하는 기능 제공
  • Framebuffer 설정 과정에서 텍스처 포맷, 렌더링 타겟 설정이 필수적
  • 렌더링 결과를 다른 오브젝트에 적용하기 위해 텍스처를 사용하는 실습 예제 포함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Framebuffers란 무엇인가?

  • Framebuffers는 화면 외부에서 렌더링을 수행하는 가상의 렌더링 타겟
  • 포스트프로세싱 효과(블룸, 모션 블러) 및 텍스처 기반 렌더링에 필수적
  • Offscreen Rendering을 통해 복잡한 3D 시나리오를 텍스처에 저장 가능

2. Framebuffer 설정 방법

  • Framebuffer 객체 생성 후 텍스처를 렌더링 타겟으로 연결
  • 텍스처의 포맷(RGBA, FLOAT 등)과 메모리 해상도 설정 중요
  • 기본 렌더링 버퍼Framebuffers 간 스위칭을 통해 렌더링 시퀀스 관리

3. 텍스처 사용 예제

  • 렌더링된 텍스처를 다른 오브젝트에 적용하는 과정
  • 텍스처 샘플링을 통해 포스트프로세싱 효과 적용 가능
  • 실습 코드에서 gl.bindFramebuffer()gl.drawArrays() 활용 예시 제공

결론

  • Framebuffers를 활용해 복잡한 렌더링 효과 구현 가능
  • 텍스처 생성과 렌더링 타겟 설정을 정확히 이해해야 성공

👉 자세한 가이드 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