웹소켓과 HTTP: 핵심 차이점 이해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자, 실시간 기능 구현을 위한 백엔드 개발자 (중급~고급)

핵심 요약

  • HTTP는 요청-응답 방식의 상태 없는 프로토콜이며, WebSocket은 지속적인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
  • HTTP는 REST API, 정적 자원 로딩에 적합하고, WebSocket은 실시간 채팅, 온라인 게임 등에 필수적
  • 보안 측면에서 HTTP는 HTTPS, WebSocket은 WSS(WebSocket Secure)를 사용하며, WebSocket은 인증 및 출처 검증이 필수적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핵심 차이점

  • HTTP: 클라이언트-서버 간 단일 요청-응답 패턴, 연결 종료 후 상태 유지 불가
  • WebSocket: 초기 HTTP 핸드셰이크 후 지속적인 연결 유지, 양방향 데이터 전송 가능
  • HTTP: 상태 없는 프로토콜로, 캐시 및 세션 관리 필요
  • WebSocket: 연결이 지속되므로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효율적

2. HTTP의 특징 및 사용 시나리오

  • 장점:

- 웹 페이지, REST API, 정적 자원 로딩에 적합

- 모든 현대 브라우저 및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널리 지원

  • 단점:

- 실시간 데이터 업데이트 필요 시 성능 저하

- 연결 수립 및 종료 과정이 반복적

3. WebSocket의 특징 및 사용 시나리오

  • 장점:

- 실시간 채팅, 주식 시세, 협업 편집 도구 등에 최적화

- 데이터 전송 지연 최소화

  • 단점:

- 초기 핸드셰이크 필요, 보안 설정(인증, 출처 검증)이 복잡

- 서버 리소스 소비가 상대적으로 높음

4. 선택 기준

  • HTTP 사용 시:

- 사용자 조작(버튼 클릭 등)에 의한 데이터 요청

- 상태 없는 RESTful 애플리케이션

  • WebSocket 사용 시:

- 사용자 없이 자동으로 데이터 전송 필요

- 실시간 업데이트가 필수적인 애플리케이션

5. 보안 및 확장성 고려사항

  • HTTP: HTTPS를 통해 암호화, 확장성 높음
  • WebSocket: WSS를 사용, 인증 및 출처 검증 필수
  • 두 프로토콜 모두 현대 브라우저 및 서버 인프라에서 지원

결론

  • HTTP는 상태 없는 단순 요청-응답에, WebSocket은 실시간 데이터 통신에 적합
  • 실시간 기능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WebSocket 사용을 권장하며, 보안 설정 및 서버 리소스 관리에 주의
  •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따라 프로토콜 선택 시, 성능, 확장성, 보안 요건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