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ocker란 무엇인가?

카테고리

인프라/DevOps/보안

서브카테고리

DevOps

대상자

  • 개발자 및 DevOps 엔지니어
  • 난이도: 초보자부터 중급자까지 이해 가능한 기초 설명 포함

핵심 요약

  • Docker는 애플리케이션을 Container로 패키징하여 환경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실행 가능
  • Image는 Container 생성의 레시피, Dockerfile은 레시피 작성 규칙
  • VolumeNetwork는 데이터 지속성 및 컨테이너 간 통신 해결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Docker 개념 소개

  • Containerization Platform으로, 애플리케이션을 "배송용 컨테이너"처럼 패키징
  • "Works on my machine" 문제 해결: 환경 불일치로 인한 오류 방지
  • Image → Container 생성: 레시피(이미지)로 동일한 컨테이너 반복 생성 가능

2. Docker 핵심 구성 요소

  • Image: 레시피(예: nginx, mysql)
  • Dockerfile: 이미지 생성을 위한 명령어(예: FROM, RUN, CMD)
  • Volume: 컨테이너 종료 시 데이터 손실 방지
  • Network: 컨테이너 간 통신(예: Frontend → Backend → Database)

3. Docker의 사용 사례와 이점

  • Microservices 아키텍처: 각 서비스를 별도 컨테이너로 분리하여 확장성 향상
  • Docker Compose: 여러 컨테이너 동시에 실행(예: docker-compose up)
  • Virtual Machine 대비 성능: CPU/메모리 사용량 5-10초로 빠른 시작

4. 실무 적용 및 주의사항

  • 공통 실수:

- Container = VM 오해 → Process Isolation 개념 강조

- Root 사용자로 컨테이너 실행 → non-root 사용자 권장

- 대형 이미지 크기 → Multi-stage build, Alpine Linux 사용

  • 보안 및 모니터링: Health Check, Volume 활용 필수

5. Docker 대체 옵션

  • Kubernetes: 대규모 프로덕션 환경 최적화
  • Podman, LXC/LXD, Nomad: Docker 외 선택지
  • Docker Swarm: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

결론

  • Docker 학습 순서: 설치 → 첫 컨테이너 실행 → Dockerfile 작성 → Compose 사용 → 네트워크/볼륨 설정
  • 실무 팁: Linux 명령어, CLI 익히기, 컨테이너 이미지 최적화(예: multi-stage build)
  • 경력 기회: DevOps, 인프라 관리, 클라우드 엔지니어 등 고소득 직군으로 진입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