왜 100줄의 코드가 2줄보다 나을 수 있는가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개발 툴
대상자
- 프로그래머, 알고리즘 설계자, 시스템 최적화 담당자
- 중급~고급 수준의 코드 효율성과 알고리즘 성능 이해 요구
핵심 요약
- 짧은 코드 ≠ 효율적인 코드
- 더 많은 줄수가 비용이 높은 연산을 줄이는 경우도 존재
- 그룹 비교 알고리즘(
divide-and-conquer
)이 선형 검색보다 시간 복잡도와 성능에서 우월 -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코드 길이보다 중요한 기준
섹션별 세부 요약
1. 짧은 코드의 한계
- 짧은 코드가 메모리 사용량과 실행 속도를 줄인다고 생각하는 일반적인 오해
- 복잡한 로직을 한 줄로 압축하면 의도 파악이 어려워지고 버그 발생 가능성 증가
- 예시:
if (boxes[i] > 1) return boxes[i];
→ 최악의 경우 9번의 중량 측정 필요
2. 알고리즘 효율성 비교
- 그룹 비교 방법(
divide-and-conquer
)을 사용한 코드:
```c
int group1 = boxes[0] + boxes[1] + boxes[2];
int group2 = boxes[3] + boxes[4] + boxes[5];
```
- 최대 3번의 중량 측정만으로 결함 박스 탐지 가능
- 시간 복잡도
O(n)
→O(log n)
으로 성능 향상
3. 코드 설계의 핵심 원칙
-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코드 길이보다 우선되어야 함
- 간결성과 효율성의 균형 유지가 시스템 성능 및 팀 협업에 필수적
- 알고리즘 선택이 코드 길이보다 성능 최적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침
결론
- 코드 길이보다 알고리즘 효율성과 유지보수성을 고려해야 함
- 그룹 비교와 같은 분할 정복 알고리즘은 비용이 높은 연산을 줄이는 실무적 적용 예시
- 성능 향상과 가독성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 설계가 핵심 전략