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oose로 카오스 감정 인식 앱 개발 이유

왜 Goose를 사용하여 카오스 감정 인식 앱을 만들었는가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인공지능, 바이브코딩

대상자

  • 소프트웨어 개발자, AI 툴 사용자, 창의적 프로젝트 개발자
  • 중급~고급 수준의 개발자 (AI 에이전트 활용, JavaScript 프레임워크 기초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Goose를 활용한 카오스 UI 개발
  • 감정 인식 기능과 예측 불가능한 인터페이스 반응을 결합한 앱 구현
  • "The Great Goose Off" 경쟁 시리즈를 통해 AI 에이전트의 창의성 탐구
  • 프로젝트 실행 전략
  • 복잡한 작업을 4단계로 분해 (웹캠 앱 생성 → 얼굴 인식 → 감정 인식 → 카오스 모드 추가)
  • GitHub 커밋 기반 반복적 개발으로 기능 검증 및 수정 가능
  • 기술적 선택 사항
  • Claude Sonnet 4 사용 (빠른 페인팅, 코드 문서화 기능)
  • face-api.js를 통한 얼굴 감정 인식 구현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감정 인식 앱 개발의 동기

  • 개발자에게 재미와 창의성을 회복하기 위한 시도
  • AI 에이전트(Goose)를 통해 재미 중심의 프로젝트 개발 가능
  • Tim O’Reilly 기사 인용: "AI-assisted coding은 프로그래밍의 즐거움을 되찾았다"

2. The Great Goose Off 경쟁 시리즈

  • 두 명의 참가자가 Goose를 사용해 가장 무작위적인 앱 개발
  • 예시 요구사항:
  • 로그인 불가능한 로그인 폼
  • 모욕적인 오류 메시지
  • 커서를 피하는 버튼

3. Goose의 창의성 활용 전략

  • 비엔지니어 참가자의 경우 더 상상력 있는 결과 도출
  • 프롬프트 해석 범위를 너그럽게 설정
  • 고급 개발자와의 차별화:
  • 고수준 지시로 AI 에이전트의 탐색 공간 확대

4. 기술적 구현 방법

  • Claude Sonnet 4 선택 이유:
  • 빠른 코드 페인팅
  • 코드 문서화 및 다음 단계 예측 기능
  • face-api CDN 실패 시 로컬 모델 로드 자동 전환
  • 4단계 프롬프트 분해:
  1. "JavaScript로 웹캠 앱 생성"
  2. "face-api.js로 얼굴 인식 모드 추가"
  3. "감정 인식 모드 활성화"
  4. "카오스 모드 토글 추가" (예: 화면 흔들기, 색상 변화)

5. 앱 기능 예시 및 결과

  • 감정에 따른 UI 반응:
  • 분노 시 화면 빨강, 흔들림
  • 미소 시 다채로운 색상 출현
  • 질병 시 전체 레이아웃 회전
  • 실무 적용 가능성:
  • 재미 중심의 UI 개발을 통한 창의성 촉진

결론

  • 재미와 실용성의 균형을 유지한 프로젝트 개발이 중요
  • Goose 사용 예제를 통해 자신의 창의적 앱 구현 가능
  • GitHub 레포지토리 활용 및 Goose 설치 필수

> "재미를 위한 개발도 가치가 있다. 창의적인 실험은 문제 해결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.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