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목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초보 개발자 및 교육 프로그램 수강생
-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효과성과 기초 개념 정리 필요성에 대한 인사이트
- 고난도 프로그래밍 학습 과정에서의 실전 경험 공유
핵심 요약
- 기초 개념 정리의 중요성: 2016년 Vanilla JavaScript, MEAN 스택 등 프레임워크 중심의 빠른 학습이 기초 정리에 부족함
- 구조화된 학습의 효과: CSMC 203 수강으로 Python 등 기초 프로그래밍 이해도 향상
- 실무 경험 강조: 12개 프로젝트 개발을 통해 경력 수준 입증 및 역량 증명
섹션별 세부 요약
1. 초기 개발자 교육 경험
- General Assembly의 Web Developer Immersive 프로그램은 Vanilla JavaScript, MEAN 스택 중심의 빠른 학습 방식
- 기초 개념 정리 부족: 빠른 속도로 커리큘럼 진행 → 기초 이해 미흡
- 프로젝트 중심 학습 강조: 처음부터 직접 개발하며 문제 해결 경험 제공
2. 학습 방식의 변화
- CSMC 203: Introduction to Programming 수강으로 기초 개념 정리 → Python 학습 용이
- 자율 학습과 실전 경험의 중요성: 문제 해결 중심의 방식이 기초 정리에 효과적
3. 대학 교육의 도전
- University of Illinois Chicago(UIC)의 자동 평가 시스템(Autograder) 사용
- HackerRank/LeetCode 스타일 테스트 없이 문제 해결 방법 미제공 → 학습 장벽 생성
- 과제 과도한 부담: 공학부 과제량이 학습 과정에 부정적 영향
4. 12개 프로젝트 개발 계획
- 경력 수준 입증: 12개 프로젝트를 통해 senior developer 역량 강조
- 역량 증명 목적: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자로서의 의도적인 설계 능력 보여주기
결론
- 기초 개념 정리 + 실무 경험이 핵심 → 12개 프로젝트로 경력 수준 입증
- 자율 학습과 구조화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해 개발자 역량 강화 가능
- 자동 평가 시스템(Autograder)은 초기 학습 단계에서 부담 요소로 주의 필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