옛날 게임은 죽지 않고, 새로운 게임만 사라지는 이유
카테고리
트렌드
서브카테고리
게임 산업 트렌드, 게임 생존 전략
대상자
게임 개발자, 게임 커뮤니티, 게임 산업 분석가, 유저
핵심 요약
- 옛날 게임의 생존 원인: 오프라인 실행 가능성, 사용자 제어 가능한 서버/모드, 커뮤니티 중심 개발
- 신작 게임의 쇠퇴 원인: 서버 종료, 마이크로트랜잭션, FOMO 전략, 단기적 수익 중심 모델
- 장수 게임 설계 제안: 하드웨어 호환성 확보, 모드/서버 개방, 사용자 참여 유도
섹션별 세부 요약
1. 옛날 게임의 생존 요인
- 오프라인 실행 가능성: 80~90년대 게임은 최저 사양을 고려해 개발되어 모든 하드웨어에서 실행 가능
- 커뮤니티 중심 서버 운영: Minecraft, CS 1.6 등은 사용자가 직접 서버를 열고 커스텀 룰/모드를 자유롭게 적용 가능
- 모딩 커뮤니티의 역할: Unreal Tournament, Call of Duty: World at War 등은 모드 지원 덕분에 오랜 시간 유지
2. 신작 게임의 쇠퇴 요인
- 서버 종료와 마이크로트랜잭션: 신작은 서버 종료 시 플레이 불가, 지속적 업데이트와 FOMO 전략으로 사용자 이탈
- 단기적 수익 모델: AAA 게임은 일회성 게임 개발에 집중, 플레이어 소유권 부재 (Steam/Epic 계정 기반)
- 복잡한 시스템과 부족한 창발성: 최신 게임은 과도한 기능 추가로 사용자 경험 약화, BFV/BF6 등에서 전술/커뮤니케이션 상실
3. 게임 생존 전략
- 오프라인/사용자 제어 요소 도입: 신작 게임은 부분적으로 오프라인 실행 가능, 서버/모드 개방 필요
- 커뮤니티 참여 유도: DayZ 모드 → Standalone 출시 사례로 보여주는 커뮤니티 중심 개발의 중요성
- 하드웨어 호환성 확보: 구형 게임처럼 저사양 PC/노트북/VR 헤드셋에서도 실행 가능한 설계 필요
결론
- 장수 게임을 위한 핵심 팁: 오프라인 실행 가능성 확보, 모드/서버 개방, 사용자 참여 유도, 과거 성공 전략 (예: Quake의 서버 호스팅) 참고.
- 예시: FreeInfantry.com의 커뮤니티 호스팅, Open Source 게임 프로젝트 (Nexuiz, 0 A.D) 활용.
- 최종 결론: 게임은 단기적 수익보다 사용자 참여와 커뮤니티 생태계를 기반으로 장수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