왜 간단한 코드가 "영리한" 코드보다 10배 더 스마트한가?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프론트엔드 개발자, 팀 협업 중인 개발자, 코드 리뷰를 담당하는 개발자
핵심 요약
- 가독성이 유지보수성을 결정한다. 복잡한 한 줄 코드보다는 명확한 다중 줄 코드가 장기적으로 유리하다.
- "clever code"는 단기적으로 인상적이지만, 리뷰, 디버깅, 협업 시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.
- 코드는 팀원과 미래의 자신을 위해 작성되어야 하며, "간결함"보다 "투명한 사고 과정"이 더 중요하다.
섹션별 세부 요약
1. Clever Code Trap의 문제점
- "짧고 깔끔한 코드"가 유혹적이지만, 복잡한 로직은 디버깅 시 시간 낭비를 초래한다.
- 예시:
const result = ...
와 같은 한 줄 코드가 초보자나 리뷰어에게 이해 어려움을 유발한다. - "clever code"의 장점은 경쟁, 저수준 시스템, 라이브러리 개발에서만 유효하다.
2. 코드의 목적: 가독성 vs. 기능성
- 코드는 컴파일러가 아닌 팀원과 미래의 자신을 위해 작성된다.
- "유지보수성"이 코드 품질의 최종 지표이며, 복잡한 로직은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킨다.
- 예시:
return !!value && value.trim().length > 3;
은 가독성이 낮은 한 줄 표현식이지만, 명확한 조건 분리가 더 유리하다.
3. 간결성과 유지보수성의 균형
- "간단한 코드"는 다른 개발자가 이해하기 쉬우며, 디버깅 시 오류 추적을 용이하게 한다.
- 예시:
function reverseString(str) { ... }
는 함수명이 명확해 의도를 직관적으로 전달한다. - "간결함"은 기능이 아닌 가독성을 위한 것이며, 복잡한 로직은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킨다.
4. 주석과 코드 구조의 중요성
- 주석은 "왜"가 아닌 "왜 그런 조건이 필요한가?"를 설명해야 한다.
- 예시:
// Skip disabled items from the UI list
는 조건의 목적을 명확히 전달한다. - Whitespace는 코드 가독성 향상에 무조건적으로 유리하며, 과도한 줄 수 줄이기보다는 가독성을 우선시해야 한다.
5. 성능 최적화 vs. 간단성
- 성능-중요한 경로(라이브러리, 대규모 데이터 처리)에서는 최적화가 필요하지만, 포트폴리오, 랜딩 페이지, 내부 도구에서는 간단성이 더 중요하다.
- "micro-optimizations"은 95%의 경우 유지보수성과 상충한다.
결론
- 간단하고 명확한 코드는 팀 협업과 장기 유지보수에 필수적이며, "clever code"는 단기적 자랑심을 위한 것이 아니다.
- 코드 작성 시 "다음 개발자가 이해할 수 있는가?"를 고려하고, 주석은 의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해야 한다.
- "간단함"은 무능력이 아니라, 팀 전체의 생산성을 높이는 전략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