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 VM의 SSH 키를 사용하여 WSL2에서 GitHub에 액세스하는 방법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WSL2와 Linux VM을 병행하는 개발자, 중급 수준의 DevOps 실무자
핵심 요약
- SSH 키를 Linux VM에서 WSL2로 이전하여 GitHub 인증 문제 해결
scp
명령어를 사용해.ssh
디렉터리 및 키 파일 복사chmod 600
명령어로 개인 키의 보안 권한 설정
섹션별 세부 요약
1. Linux VM의 SSH 인증 상태 확인
ssh -T git@github.com
명령어로 Linux VM의 SSH 설정 검증- 성공 시 GitHub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짐
2. WSL2에서 `.ssh` 디렉터리 생성
mkdir -p ~/.ssh
명령어로 WSL2의.ssh
디렉터리 생성- 기존 디렉터리 존재 시 오류 방지
3. Linux VM에서 WSL2로 SSH 키 복사
scp
명령어로id_rsa
와id_rsa.pub
파일 복사- 예시:
scp alok@192.168.45.100:/home/alok/.ssh/id_rsa ~/.ssh/id_rsa
- Linux VM의 IP 주소와 사용자명은 환경에 맞게 변경 필요
4. WSL2에서 키 파일 보안 설정
chmod 600 ~/.ssh/id_rsa
명령어로 개인 키의 읽기/쓰기 권한 설정chmod 644 ~/.ssh/id_rsa.pub
명령어로 공개 키의 읽기 권한 설정
5. WSL2에서 GitHub 인증 테스트
ssh -T git@github.com
명령어로 SSH 연결 테스트- 성공 시 "Hi
! You've successfully authenticated..." 메시지 출력
6. GitHub 저장소 클론 테스트
git clone git@github.com:alok-38/Introduction-to-Software-Engineering.git
명령어로 저장소 클론- SSH 키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정상적으로 복제됨
결론
- WSL2에서 GitHub에 액세스하려면 Linux VM의 SSH 키를 명시적으로 복사하고
chmod
로 권한을 설정해야 함 scp
와chmod
명령어 사용 시 보안 및 접근 권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