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ouTube 광고 차단 방지 기술: 페이크 버퍼링 및 SABR 프로토콜 (60자 이내)

YouTube의 새로운 광고 차단 방지 조치 요약

카테고리

인프라/DevOps/보안

서브카테고리

보안 프로토콜, 인프라 구성 요소

대상자

기술적으로 숙련된 사용자 및 개발자, 광고 차단 도구 사용자

  • 중간~고급 수준의 기술 이해가 필요한 사용자

핵심 요약

  • YouTube는 광고 차단을 방지하기 위해 '페이크 버퍼링' 기법을 도입하여, 광고 길이의 80%만큼 동영상 시작을 지연시킴
  • SABR(Server ABR)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이언트에 backoff 지연 명령을 전달하며, InnerTube API를 통해 광고 차단 여부를 탐지
  • uBlock Origin, Object.assign 후킹, JSON 속성 수정 등으로 광고 차단 효과를 우회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 존재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광고 차단 방지 기술

  • 페이크 버퍼링: 광고 길이의 80%만큼 동영상 재생을 지연시켜 광고 차단을 유도
  • JavaScript 잠금 스크립트: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한하여 광고 차단 기능을 방해
  • A/B 테스트: 특정 사용자 집단에만 실험적 기능 적용하여 효과 분석

2. 기술적 구현 방식

  • InnerTube API: 광고 차단 여부를 탐지하여 GVS 스트림에 backoff 지연 명령 포함
  • SABR 프로토콜: 클라이언트에 backoff 명령을 전달하여 광고 재생을 강제
  • GVS(Google Video Services): 비디오 스트림 전달 시 시간 만료 처리 및 네트워크 최적화

3. 광고 차단 우회 방법

  • uBlock Origin 필터: 특정 규칙 추가로 페이크 버퍼링 효과 우회
  • JSON 속성 수정: "isInlinePlaybackNoAd":true 설정으로 광고 및 backoff 제거
  • Object.assign 후킹: Chromium 브라우저에서 필터 우회 가능

4. 사용자 경험 및 의견

  • 광고 없음 플랜: 유료 구독(YouTube Premium)을 통해 광고를 완전히 제거 가능
  • Patreon 이동: 일부 사용자는 유튜브 대신 크리에이터 후원 플랫폼으로 전환
  • 광고 콘텐츠 비판: 유튜브 광고의 과도한 수준과 부적절한 광고 내용에 대한 지적

5. 미래 예측 및 기술 동향

  • SSAI(Server-Side Ad Insertion): 광고를 스트림에 직접 삽입하는 실험 진행 중
  • AI 기반 광고 차단: 실시간 AI 인식 기술이 도입될 것으로 예상
  • SponsorBlock, Tubular: 타임스탬프 기반의 광고 차단 흐름 확산

결론

  • 광고 차단 우회를 위해 uBlock Origin, JSON 속성 수정, Object.assign 후킹 등 기술적 방법 활용
  • SSAI, AI 기반 광고 차단 기술 확산으로 인해 광고 차단은 지속적으로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
  • 유료 구독(YouTube Premium) 또는 대체 플랫폼(Patreon) 선택을 통해 광고 없는 환경 구축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