Zecrypt: Open-Source Zero-Knowledge Password Manager with AE

오픈소스 제로지식 비밀번호 관리자 Zecrypt 개발 이유와 기술적 특징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, 인프라/DevOps/보안

대상자

  • 개발자 및 보안에 민감한 사용자 (보안 기술 습득,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)
  • 난이도 수준: 중간 (암호화 원리 이해 필요, 소스코드 분석 가능)

핵심 요약

  • 제로지식 암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 데이터가 서버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
  • AES-GCM 암호화 방식 사용 (암호문의 무결성 보장)
  • FastAPI + Next.js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 (고성능, 유연한 UI 구현)
  • MongoDB에 암호화된 데이터 저장 (DB에 평문 노출 방지)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Zecrypt 개발 배경

  • 팀원의 테스트 서버 관리자 비밀번호 유실 사고로 프로젝트 시작
  • 기존 비밀번호 관리자들의 보안성 부족 또는 사용성 저하 문제 인식
  • 제로지식 원칙을 적용한 암호화 기반의 비밀번호 관리자 개발 결정

2. 핵심 기술 스택

  • 백엔드: FastAPI (Python) - 비동기 처리, 타입 안전성 제공
  • 프론트엔드: Next.js (React) -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구현
  • 데이터 저장소: MongoDB - 암호화된 데이터 저장 (평문 노출 방지)
  • 암호화 알고리즘: AES-GCM - 암호문 무결성과 기밀성 보장

3. 제로지식 아키텍처

  • 클라이언트에서 암호화 키 생성 (PBKDF2 또는 Argon2 사용)
  • 암호화된 데이터만 서버에 저장 (MongoDB에 평문 저장 금지)
  • 사용자 데이터 접근 불가 (단순 서버 접근 시 암호문만 노출)

4. 오픈소스 특징

  • 깃허브에서 공개 (코드 검증, 포크, 기여 가능)
  • 투명성 강조 (보안 취약점 발견 시 즉시 수정 가능)
  • 자체 호스팅 버전 지원 (팀/기관용 맞춤형 배포 가능)

결론

  • Zecrypt사용자 데이터 보호를 위해 제로지식 원칙AES-GCM 암호화를 적용한 오픈소스 비밀번호 관리자로, FastAPI + Next.js + MongoDB 기술 스택을 활용한 사례
  • GitHub 리포지토리에서 코드 확인 및 기여 가능, 모바일 앱 및 오프라인 버전 개발 계획 발표
  • 보안 기술 습득오픈소스 커뮤니티 참여를 원하는 개발자에게 추천